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사용방법

by 포동포동 다람쥐 2020. 12. 9.
반응형

오늘은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사용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는 네이버의 취득세 계산기를 사용해서 부동산 취득세를 계산해보겠습니다.

근데 왜 하필 네이버 취득세 계산기이냐? 접근성이 좋기 때문이죠

 

우선 네이버에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라고 입력해주세요.

그러면 아래와 같이 사진이 보이실 겁니다. 이게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입니다.

 

이제 하나하나 설명드리겠습니다.

첫번째로 매물 종류를 선택해 줘야 합니다.

아시다시피 부동산은 토지냐? 상가냐? 그리고 자경한 토지냐? 새로 신축한 상가냐?

에 따라 부동산 취득세 세율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매물 종류도 중요하지만 취득세 세율도 중요합니다.

 

근데 취득세 세율에 대한 부분은 다음에 포스팅하도록 하고 오늘은 간단하게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로 간단한 부동산 취득세만 계산해볼 예정이니 매물 종류를 어떻게 입력해야 되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매물 종류를 농지로 하면 농지의 취득세 세율 3.4%를 적용하여 부동산 취득세가 계산됩니다.

가령 1억 원의 농지를 취득한다고 하면 10,000 x 3.4% = 340만 원이 취득세로 계산되는 것이죠.

 

다음은 매물 종류를 농지 외로 했을 경우입니다.

농지 외로 했을 경우 거래종류로 전용면적 85m2 미만, 전용면적 85m2 초과, 주택 외 이렇게

3가지로 나뉘는데 전용면적이 85m2 미만이면 농어촌특별세가 면제되기 때문에 0.2%의 취득세가 빠지고

전용면적 85m 2를 초과하면 농어촌특별세 0.2%를 가산하여 취득세를 계산하게 됩니다.

 

가령 주택 전용면적 85m2 초과하고 거래금액이 9억을 초과한다면 3.3%에 농어촌특별세 0.2%를 추가하여

합 3.5%의 취득세 세율이 적용되겠고, 전용면적 85m2 미만이면 3.3%만 적용되겠습니다.

 

그럼 주택 외는 취득세 세율이 몇%로 적용될까요?

주택 외는 일반적인 땅이나 상가, 빌딩 이런 주택 외 부동산의 취득세를 계산할 때 주택 외로 매물 종류를

입력해서 부동산 취득세를 계산하면 됩니다.

 

가령 자신이 상가 취득세를 계산하고 싶다.

그럼 매물 종류를 농지 외를 입력하고 거래종류를 주택 외로 입력한 뒤에 취득금액만 입력해주면

상가 취득세 세율인 4.6%를 계산하게 부동산 취득세가 계산되어 나오겠습니다.

 

가령 2억 원의 상가를 취득한다면 20,000 x 4.6% = 920만 이런 식으로 부동산 취득세가 계산되겠죠.

네이버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가 아무래도 접근성도 좋고 여타 다른 사이트로 빠지지 않고

부동산 취득세를 계산해 볼 수 있어서 네이버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를 기준으로 부동산 취득세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드려 봤습니다.

 

근데 사실 네이버 취득세 계산기는 디테일한 부동산 취득세를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그냥

간단한 주택 취득세나 상가 취득세 정도로만 취득세를 계산할 때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